쌉만푸지말자 [1240270] · MS 2023 (수정됨) · 쪽지

2024-10-10 19:16:35
조회수 2,571

국어질문) 이거 오답 어떻게 지워야하나요

게시글 주소: https://19pass.orbi.kr/00069436892

25학년도 9월 (가)(나) 15번 문제 답을 2번으로 골라서 틀렸는데

정답-1번 : 관객은 영화 장치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사고과정은

(어 뭐지 답이 안보인다 하고 당황한 후에 1번과 2번을 남겨놓고)

현실감이 상상적인 것이며 환영이다  >>영화≠현실이라 그렇구나.

영화는 카메라가 기록한 것만, 의도에 의해 선택된 것만 볼 수 있는 거니깐

2번 현실의 의미는 미리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고르고

영화의 의미는 정해져 있네. 하고 넘어갔습니다


틀리고 나서 1번이 답이라는 거를 고르려면

1문단에서 영화 장치->동일시 현상->따라서 영화는 일종의 몽상

으로 갔어야 할 것 같긴 한데,


2번이 오답인 근거는 뭐로 찾았어야 할까요?


9모 다시 풀다가 또 모르겠어서 질문 올립니다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쌉만푸지말자 · 1240270 · 10/10 19:19 · MS 2023
  • 쌉만푸지말자 · 1240270 · 10/10 19:19 · MS 2023
  • 오수할사람 · 990753 · 10/10 19:36 · MS 2020

    미결정 상태의 현실은 바쟁이 주장한거임 정신분석학~ 과는 무관하니 범주 out

  • 쌉만푸지말자 · 1240270 · 10/10 20:24 · MS 2023 (수정됨)

    앗 그렇네요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랑 결정되었다는 전혀 다른 범주였네요 감사합니다

  • 물2버린허수 · 1059337 · 10/10 19:50 · MS 2021

    대충 읽으면서 끄적였는데 평소쓰는 것 보다 공간이 작아서 개판인데 대충 알아봐주세요.
    (가),(나)형 지문은 두 지문이 같은 범주에 묶인 글이기 때문에 같이 봐줘야 해요.
    그래서 (가)부터 다 읽었는데 (나)에서의 영화는 (가)의 둘째문단의 이미지 감독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어요. 완벽히 일치한다고 볼 수는 없지만 (가)에서 나온 두 범주 중 현실 감독이 핵심 주장이었으니 (나)는 반대인 이미지 감독에 해당된다는 느낌으로 가도 되고 (나)에서 영화는 장치들로 인위적으로 만든 것이라고 하는 것에서 끌고 가도 좋아요.
    나)의 ~~이론에서 말하는 영화는 인위적인 것=(가)의 감독의 의도가 들어간 것으로 보고 이미지 감독과 현실 감독이 있을 때 미결정성은 후자의 범주이니 역으로 치고 가면 이미지 감독의 영화에서 감독 의도 반영=현실은 결정된 것으로 가면 2번 선지가 짜잔하고 틀렸다고 볼 수 있겠네요.

    일단 제가 국어 성적이 잘 안나오는 일개 허수니까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구나하고 참고만해주세요.

  • 쌉만푸지말자 · 1240270 · 10/10 20:28 · MS 2023

    (가)(나)공통범주를 잡으면 해결할 수 있었네요
    감사합니다

  • Felix.k · 1141775 · 10/11 15:03 · MS 2022

    출제 의도를 파악해보면 밑줄 친 문장은 (나) 지문 의 가장 앞 쪽으로 정신분석학적 이론의 핵심 주장에 해당합니다. 문제를 통해 묻고 싶은 것은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같은 이야기를 하는 (나) 지문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세요" 입니다.

    2번 선지를 지워내는 전략은 두 가지 입니다.

    (1) 밑줄 추론의 본질적 접근:
    독서 지문에서 추론 문제에 대한 적절한 응답은 지문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에 한해서 가능합니다. (나) 지문은 영화 속 세계가 관객이 직접적으로 인지 주체가 되어 주어진 현실을 지각한 결과가 아닌 카메라로 규정된 시선을 토대로 만들어진 허구적인 산물이라고 보고 있죠. 그래서 밑줄 친 문장에 현실이 아니라 '느끼는 현실감'이라는 단어를 넣은 겁니다. (나) 지문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 현실의 미결정성은 (가) 지문에서는 직접적으로 언급한 적이 있으나 (나) 지문에는 없습니다. 전혀 알 수 없는 내용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답해야 합니다. 물론 (가), (나) 지문은 엮어 읽는 것이 좋지만 두 지문의 공통된 견해를 찾을 때는 지문에 있는 내용으로만 해야합니다.

    (2) 밑줄 친 문장의 방향성: 관객이 느끼는 현실감이 실은 허구라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정답 선지는 밑줄 친 문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는 선지여야 합니다. (방향성 확보) 즉, 관객이 현실감을 느끼게 하는 존재가 선지에 들어가야 합니다. 가장 함축적인 단어를 지문 속에서 찾으면 '영화 장치'입니다. 현실의 '의미'는 근거가 될 수 있는 키워드가 아닙니다.

    이상 저의 주관적인 견해였습니다. 저도 실모 풀 때 밑줄 추론 유형을 가끔 실수할 때 있는데 위의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적용하면 실수가 줄더라고요. 9모 15번은 블록체인 10번 문제와 본질적으로는 유사한 유형이었고 개인적으로 맛있는 문제 중 하나였던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