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논술 칼럼1. 수리논술이란 무엇인가 ? - 2012 연세대 수시 기출 해제.
yonse12su_ja.pdf
수리논술 칼럼1.pdf
그럼, 시작합니다.^^(모르비분들을 위해서 첨부파일 있습니다. 하나는 기출 이고 하나는 이글 그대로 올라와 있어요.)
기본적으로 논술 이라함은 "어떤 사물(事物)을 논(論)하여 말하거나 적음" 이라는 사전식 정의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사전식 정의는 실질적인 논술문제는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사전식 정의에 따르면 자신의 생각을 적어나가는게 논술 이라고 말한다면,
대입 논술에서 중요한 요소는, 문제를 얼마나 잘 이해해서 문제에 맞는 풀이를 해나가는가? 입니다.
(여기에 잠시 사족을 달자면, 고등학교에서 요구하는 수학적 능력을 이미 넘어서 그냥 푸니깐 풀리더라, 라는 학생들은 여기에서 제외 입니다.)
즉, 논술이란, 이 대학교의 이 문제가 요구하는 것을 쓰는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필요한것은 크게 세가지 입니다.
제시문에 대한 분석, 답을 내기 위한 아이디어, 그 아이디어를 수식적으로 전개할수 있는 능력 이죠.
한 문제를 풀기 위해선, 특히 상당히 상위권 대학의 문제를 풀어 나가기 위해서는, 세가지 능력이 모두 필요합니다.
하지만 어떻게 ? 라는 의문이 있죠.
단순히 "나 수학문제 쫌 잘푼다?" 라는걸로 "수리논술문제도 잘풀수 있어" 라고 일반화를 시키긴 어렵습니다.
수능 수학이 요구하는 수학적능력과, 수리논술에서 요구하는 수학적능력은 상당부분 유사하지만, 차이점은 분명히 존재 하니깐요.
이 글에선, "대학을 가는 데 논술이 얼마나 중요한가" 는 다루지 않겠습니다만, 분명한 것은, 논술도 대학을 가는데 빼놓을수 없을 만큼 중요한 위치를 차지 하고 있고, 그에 대한 준비도 체계적으로 해나가야 된다는 것입니다.
우선은, 첫 번째인 제시문 분석은 이러이러한 방향으로 해라. 에 대해서 논하겠습니다.
수리논술을 이러이러한 방향해라! 라는 말은 너무 추상적으로 될수 있으므로, 하나의 예시를 가지고 오겠습니다.
![](https://s3.orbi.kr/data/file/cheditor4/1302/BtQwqWNzqo9rQ.gif)
이정도가 연세대 2012 수시 기출문제에 대한 제시문 분석입니다. 만약 제시문 분석을 이정도로 한다면 120% 분석을 하는거죠.
약간 과한 감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시험장에서 문제를 푸는 실전적인 것을 갈고 닦기 보다는 좀더 기본적인 것에 신경을 써야 할때입니다.
시험장에서는 위에서 분석한것의 2/3 정도만 해도 성공한것이죠. 시험장에서 좀더 명확히 보기 위해서는 그전에 공부를 할대 좀더 심도있게 분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혹시나 이 문제를 풀어 보셨던 분들이 계신다면, 제시문 다음에 바로 따라 나오는 논제 1번. 즉,
![](https://s3.orbi.kr/data/file/cheditor4/1302/fNAQr337duv1qmZoxlN3yYvVg8KLKb.png)
이 문제를 풀어 나가면, A와 B들에 대한 특성을 발견해 낼수 있다는 것을 아실겁니다.
이렇듯, 한 제시문에 여러 논제들이 나오는 경우 첫 번째 문제는 두 번째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많은 힌트를 담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두 번째 문제는 세 번째 문제를 풀어나가는 힌트가 된다는 거죠.반대로 이야기하자면, 첫 번째 문제를 제대로 풀지않으면 마지막 문제는 손도 못 댄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생각을 할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제시문은 적당히 보고 첫 번째 문제를 풀어가면서 이해하면 되지 않나?’
라고 말이죠.
이렇게 해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문제는 시간입니다.
제시문을 제대로 분석해서 기준을 명확히 잡고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과 그렇지 않는 것은 큰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첫 번째 문제를 풀면서 제시문을 분석을 하면, 문제를 풀어나갈수록 점점 시간이 더 많이 잡아먹게 될 것입니다.
제시문 분석은 이정도로 하겟습니다.
이 까지 따라 오신분들은 위 제시문에 있는 문제들을 풀어보세요. (첨부파일 참조)
다음 주이때 쯔음에, 논제들에 대한 풀이를 올리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글이 좋으면 좋아요! 부탁드릴께요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전에 올린 글을 많이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낚시 제목을 단 것은 아닌가 반성하고...
-
고3 시절,인천 교육청 주관 7월 모의고사를 치루고난 직후시험을 망쳤다는 자괴감이...
-
[고구마학습칼럼] 15. 바람직한 5월 학습계획(영어) 8
안녕하세요.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박병성(고구마)입니다.바람직한...
-
안녕하세요! 수능특강 영어영역 변형교재 저자입니다. 다들 중간고사를 치르고, 다시금...
-
안녕하세요! 수능특강 영어영역 변형교재 저자입니다.저번주에 이어 이번에도 새로운...
-
[고구마학습칼럼] 14. 바람직한 5월 학습계획(수학) 29
안녕하세요.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박병성(고구마)입니다.바람직한...
-
안녕하세요 수능예측국어 저자 국어외길입니다. 벌써 4월인데 수능 국어 공부에 대해...
-
[고구마학습칼럼] 13. 바람직한 5월 학습계획(국어) 25
안녕하세요.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박병성(고구마)입니다.최근 여성...
-
지난 100여일 동안 오르비 스탑워치 공부팀(이하 스공팀)의 통계를 내며 이런 저런...
-
[고구마학습칼럼] 12. 재수학원에 다니는 분들께 드리는 말씀 10
안녕하세요.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박병성(고구마)입니다.이번에는...
-
[고구마학습칼럼] 11. 바람직한 4~5월 학습계획(공통) 31
안녕하세요.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박병성(고구마)입니다.저희...
-
[안토샤] 4월 모의고사 국어 오답률 1위 문항의 의미 98
안녕하세요. 안토샤입니다. ^^오랜만에 쓰는 글이라 기억하실지 모르겠군요.4월...
-
[고구마학습칼럼] 10. 성적이 오르지 않는 수험생을 위한 조언 30
안녕하세요.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박병성(고구마)입니다.봄은 성적이...
-
안녕하세요.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박병성입니다.올해도 독학생들에게...
-
[고구마학습칼럼] 8. 기출분석과 EBS분석에 대한 조언 13
안녕하세요.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박병성(고구마)입니다.3평이...
-
[고구마학습칼럼] 7. 3평을 앞둔 수험생들을 위한 조언 9
안녕하세요.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
정말 오랜만에 오르비에 들어왔네요. 한동안 발길을 끊었다가,지인의 부탁으로 공부방법...
-
[고구마학습칼럼] 6. 입시를 다시 준비하는 분들을 위한 조언 #6 4
안녕하세요.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고구마(박병성)입니다.'입시를...
-
[고구마학습칼럼] 5. 입시를 다시 준비하는 분들을 위한 조언 #5 2
안녕하세요.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고구마(박병성)입니다.'입시를...
-
[고구마학습칼럼] 4. 입시를 다시 준비하는 분들을 위한 조언#4 0
안녕하세요.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고구마(박병성)입니다.8일부터...
-
수학과가 뜬다 31
이번 입시에서 오르비 표본 기준으로 서울대 수학과의 평균점수가 이과 학과들 중에서...
-
수리논술 칼럼1. 수리논술이란 무엇인가 ? - 2012 연세대 수시 기출 해제. 1
일단 올해의 시작이니 만큼, 기본적인 것 부터 시작하겠습니다.그럼,...
-
[고구마학습칼럼] 3. 입시를 다시 준비하는 분들께 드리는 조언 #3 2
안녕하세요.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고구마(박병성)입니다.8일부터...
-
[고구마학습칼럼] 2. 입시를 다시 준비하는 분들께 드리는 조언 #2 8
안녕하세요.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고구마(박병성)입니다.2월...
-
이미 이 시험은 유희가 아니라... 진작도 나는 그렇게 말해왔지만 이제야말로 이...
-
나의 수학(수리 영역) 학습 방법 by.Hauptwerk 155
안녕하세요?? 오르비 Hauptwerk입니다. 제가 공부하면서 느꼇고 생각했고...
-
[고구마학습칼럼] 1. 입시를 다시 준비하는 분들께 드리는 조언 #1 0
안녕하세요.좋은 교육 행복한 세상 위자듀학원 원장 고구마(박병성)입니다.2월...
-
§ 기숙학원을 들어가시거나, 준비하시는 분들께... (스압) 1
안녕하세요 오르비 여러분 크나리온입니다.! 지난번에 수기에 '예비 재수생을 위한...
-
공부에 있어서 체화(體化)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도전인입니다. 이 글을 쓰는...
-
[ 예비 재수생에게 드리는 조언] - 예비 고3 여러분이 봐도 상관 없습니다. (스압) 0
고3 여러분 은 'Advice 2'나 '재수생에게 향한 조언'을 재수생의 것으로만...
-
공부는 등산이다. 13
안녕하세요? 오르비 영어 인강강사 상변선생입니다. 오늘은 "공부는 등산이다"라는...
-
'오늘도 우리는 살아간다' 20대 한달 생활비 밀착 취재 (퍼온글) 0
요즘 ‘20대’를 타겟으로 한 정치적, 사회적 메시지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대선의...
-
정치색이 느껴지실 수도 있겠는데요, 오해하지 말아 주세요.저는 정치에 있어서...
-
질문에 대한 답변이기는 한데 쪽지로 보내기에 너무 길기도 하고, 다른 오르비...
-
수능이 끝났습니다. 수능점수는 좀 있으면 나올 겁니다. 수능 점수는 이미 결정되어...
-
어젯밤에는 오랜만에 수능 보는 꿈을 꾸었습니다. 인생을 걸고 제대로 된 수능 시험을...
-
1. 원어민 화자 머릿속에 들어있는 영어의 규칙 어렸을 적 과학시간에 우리는 공기의...
-
한 글- 한 단락- 한문장 붙어있을수있는 이유-흐름(연관성) 따라서 글을 처음부터...
-
검토의 중요성에 대하여 제 의견을 잠깐 말해보고자 합니다.수리영역의 경우가 검토를...
-
안녕하세요.오늘은 외국어 문제풀이에 관한 짧은 Tip.개인차가 있을지 모르나;;...
-
[고구마학습칼럼] 15. 9평 이후에도 성적은 오릅니다. 30
안녕하세요.고딩을 구하는 마법사, 고구마입니다.약속드렸듯이 강연회 내용들 중 중요한...
-
6인치 수학에서 만든 9평 나형 해설지입니다.이번 9평이 어려워서 혼란이 많은 것...
-
[고구마학습칼럼] 13. 9평 D-1 마지막 확인사항 24
안녕하세요 고딩을 구하는 마법사 고구마입니다.9평 체크포인트로 칼럼을 쓴지 얼마되지...
-
제목 그대로..시험을 잘 보기 위해서 어떤 마인드를 갖고 시험을 봐야 하는지...
-
제가 2010년에 적은 글입니다. 오랜만에 갑자기 오르비 생각이 나서 들렀는데 제가...
-
[고구마학습칼럼] 12.9평을 앞둔 수험생의 체크포인트 32
안녕하세요.고딩을 구하는 마법사, 고구마입니다.오랜만에 이곳에 방문하게...
-
6월평가원 5등급 2학기 역전 가능하다. ▶ 재종학원, 기숙학원 活用 3
6월 평가원 성적표를 받아들면 1학기가 마무리 됩니다. 이제 2학기를 보내고 있는...
-
안녕하세요 수능 예측 언어 저자 언어외길입니다얼마전 실시한 6월 모평 비문학 문제...
-
새로운 수능에 따라 새로운 공부 방향을 파악하시는 데 도움이 되고자 글을...
좋은글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