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시간문제..
게시글 주소: https://19pass.orbi.kr/000973391
언어를 풀면 항상 10~15분정도 항상 늦게 푸네요..
아 이를 어쩌면 좋죠...
모든문제를 여러번 읽는건 아니고
비문학에서 한지문이랑 문학에서 특히 고전소설부분에서
그렇게 2지문을 너무오래보는것같아요..
이걸.. 어떻게 줄일수 있을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차단 풀어도 안없어진다는 글을 봤다
-
시립대 합격 5
-
과기대 건축공학 숭실대 전자공학 이렇게 됐는데 잘 모르겠어여
-
지스트 떳네 0
ㄱㄱ
-
상용로그 자릿수구하기, 지표가수는 수능에 안 나오지? 6
과외생한테 이건 그냥 하지말라고 할까.. 수능에 다시는 나올 일 없으려나요
-
기균충인데 축하 가능? 21
아빠 집나감 엄마는 정신병있음 고등학교 졸업하고 몇년 일함 20대중반임 틀딱 나이에...
-
명지대 예비 0
명지대 자율전공학부 69명인데 예비 39붙을수 있을까요 이거떨어지면 다끝이네요
-
컨텐츠가 없는 경스퍼거는 너무나 슬프구나 (아직 기출도 제대로 안함)
-
6모 9모 학원에 신청해서 해도 성적표 나오는 거죠? 4
굳이 모교 갈 필요 없죠?
-
인형이라도 있으면 사고십은데
-
떴으니까 올리지
-
흠
-
건대 부동산 0
지원하신 분들 이번에 예비 몇 번까지 돌까요? ㅜㅜ 진학사 점공 보니까 빠질 분들이...
-
외롭군 14
외롭다
-
다군 자전 추합 1
다군에 숭실대 자전 예비 130번대를 받았는데 추합이 돌까요 ..? 모집인원은...
-
버그인가
-
얼버기 17
안녕하세용
-
알려주는사람 덕코 천개드림 예를들어 모집인원 17명에 63등이라서 예비번호 46이면...
-
지하철에서 3
오르비 디시 보고 가재맨 생방송 보는데 불쾌한가요?
-
새내기분들 12
밥약해요
-
실수 찾앗다 7
기분 좋구여
-
음료수 ㅇㅈ 0
ㅈㄱㄴ
-
좀 나와라
-
동국한 떴네.. 4
예비 15번이면 합격증은 물건너갔군
-
내일 먼 곳의 너를 보러 갈 거야
-
전부 아이민 이야기로 귀결되네요 제가 그렇게 늙었습니까
-
경북대 ,건국대 4
전자공학이면 어디감? 서울라이프에 대한 환상은 없고 살아보고는 싶다 수준이면
-
============================================= 고등학교 졸업
-
정신차려라 오멘 2
정신차려정신차려정신차려
-
첫 뱃쥐.. 3
기분이 굉장히 좋구만요
-
제가 이번에 반수를해서 국장1차를 신입생으로 신청을 했어요. 근데 이번에 반수가 잘...
-
셈퍼 계산기는 좀 이상한거 같은데
-
강원,경상 높과에 따이려나?
-
점공상 예상 추합수 179(171보다 많네요)ㅋㅋㅋ 보수적으로 빡빡하게 셌는데도...
-
고대 정시 떳네 0
ㄱㄱ
-
아주대 1
좀 빨리빨리좀 하지 지금 올려주면 어디가 덧나나
-
텝스(신입생 영어시험)은 힘조절 잘해야함 적당히 못보거나 공부하고 개잘봐서...
-
24수능 441315 나왔습니다, 화작, 미적, 생1, 지1 골랐고요. 다시 시도할...
-
제발 그럼 1지망된다
-
시립대 0
28명 뽑는 환경공학과 예비 11번인데 빠질가요...
-
낭낭히 최초합할중느 몰랐는데 안정하나빼고 상향넣을걸
-
근데 지금 합격증 보이는사람중에 절반은 서울대에서 한학기도 보내지 않을것같음
-
눈이오네 0
좋구나
-
점공 정확함?? 0
??
-
군수하면서 어떤 커리 탈 지 어떤 컨텐츠 풀 지 고민하면서 오르비 많이 참고했는데...
-
1지망 합격했습니다. 수능에 아쉬움이 많이 남기는 하지만 현실적으로 삼수는 어려워서...
-
광교역 오르비언 1
화면 밝기좀 낮추시죠
-
강남대성 수특 0
강대에서 수특 수업 하나요 아님 따로 사서 공부해야하나요
오래걸리는 파트의 실력을 키우면 됩니다. 시관관리는 테크닉으로 되는부분은 분명히 한계가 있습니다. 기본적인 실력이 바탕이되어야 문제를 푸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됩니다. 현실적으로 현재 수능언어의 수준으로 보았을 때 일반적인 학생이면 딱맞는시간입니다. 절대 모자라지 않습니다. 테크닉을 익히면 약간의 여유가 있는 정도입니다. 테크닉은 정공법으로 문제를 시간내에 풀수있을때쯤 익히면 됩니다. 지문을 빨리읽고 느리게읽고의 차이는 얼마안됩니다. 중요한 것은 지문에 딸린 문제를 푸는데 얼마나 오래걸리냐의 문제이지요. 실력이 늘면 자연히 문제가 쉬워지므로 고민하는 시간이 줄어 시간이 단축될것입니다.
전 윗분하고 생각이 좀 다른데요
시간이 부족할 때
시간을 많이쓰는 지문에서 시간을 줄이는 것도 물론 필요하겠지만
다른 부분에서 시간을 줄이고
어려운 부분에서 시간 많이 쓰는 게 합리적이라고 봅니다.
쓰기, 시, 논설문종류 에서 시간을 많이 줄이면
웬만해선 시간 모자르지 않아요
쓰기, 시, 논설문은 시간을 극도로 줄일 수 있고
시간을 줄여도 정답률이 떨어지지 않지만
소설이나 설명문 같은 경우는 정보를 체크하는 것이기 떄문에
일정시간 이상을 줄이려고 하면 반드시 정답률이 떨어지게 돼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시간이 부족하다고 자신이 많이 쓰는 부분에서만 시간을 줄이려고 하지말고
눈을 돌려서 다른 파트에서 시간을 줄이려는 노력을 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