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레건 싱어 질문좀ㅠㅠ
이번 생윤 수특 102쪽에
레건은 싱어와 달리 삶의 주체인 동물은 다른 동물들의 더 큰 이익을 위해 희생될 수 없다고 본다.
라는 선지가 나오는데 이게 왜 맞는 선지에요??
삶의 주체라는 단어 때문에 맞는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증이나 해볼까 0
도파민이 부족하긴 해
-
누구세요 1
?
-
대한만국궁대들 9
지금까자
-
아 배고파 0
김치볶음밥 먹고 싶다
-
물고기 닮은 저능아 10
외클릭?
-
모두에게 기만 당햇어요
-
홍다희가누구임? 9
유튜버가있다고?
-
락스 온더락으로 2
인생
-
올해 들어서 모든 일이 안 풀린다
-
나도 가릴거임ㅋ
-
걍 내일 들어야징
-
시컨 번장에 파는데 10
솔직히 돈은 안되고 그냥 갖다버리기 아까워서 파는 느낌임
-
인증하면친구없는이유가밝혀지니까굳이하진않겠음
-
눕고싶은데 10
ㅌ할거같음
-
그 뭐냐 2
무슨 글 쓰려했더라
-
일본같이 택시비가 비싼 곳에서는 우버 깔고 무료쿠폰으로 여차할 때 택시 사용하면...
-
구라임요 근데 더이상 이걸 보고있으면 진짜 탈릅할거같아요.. 다들잘자용
-
ㅇㅈ좀해봐 0
ㅋㅋ
-
ㅇㅈ 11
검치콘 ㅋ
-
이제 시간여행 그만해야겠다 ㅋㅋㅋ 재밌다ㅠㅠ
-
군수에 대해 궁금한 것
-
특이하기생겨서 지인들바로알아볼거같은데 다들어떧게하는거임??
-
잘생긴 남르비 6
개많네 으흐흐 행복하다
-
반수계획은 있는데 지금 학교랑 학과에도 애교심은 있어서 졸업장은 따고싶거든요 그래서...
-
응
-
태양광도 수력도 아닌 쓰레기 태워서 만드는 폐기물 에너지가 압도적이고 2등도 식량...
-
존.못이지만 상처받는 말은 노노^~^
-
흑흑 11
결국에 2번이나 인증을 많이 못봐서 다행
-
치이이익 쓰으으으읍 후 10
-
에이 시발 못봤다 텄네텄어
-
일단시드복구먼저하고시발
-
생각만해도 갸웃기네
-
여붕이 분들은 4
여긴 위험하니 저한테 따로 해주세요
-
이렇게 태어난 걸 뭐 어쩌겟어
-
하지말라면 하지마세요 #~#
-
못생긴 내얼굴도 잘생긴 네 얼굴도 모두 우리 얼굴이니까 사랑해
-
ㅏ니요 14
하지말랴여
-
행복하게 탈릅 가능
-
운동+피부과에서 지방 타우면 다시 작아지겠지?
-
하복부자극이안와 0
-
오늘 님꺼 보면 여르비들꺼 안 보고 그냥 자도 될거같음
-
아무도 전생을 모른다
-
물고기 닮았다 2
내 ㅇㅈ 반응 ㅇㅇ
-
과학탐구 학교 내신도 시험 시간 30분인가요?? 이제 고2되는데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학바학인가요
-
굿나잇 4
난 안 잔다요
-
진짜 제발,,, 0
제발,,,, 제발,,,,
싱어 : 오로지 쾌고감수능력
레건 : 삶의주체-->자신의 삶에 대한 자신의 복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
그럼 레건은 쾌고감수능력은 고려x, 1살이상 고등 포유류+삶의주체 이면 배려한다
요건가요?
'삶의 주체'는 싱어와 관련 없는 것 같아요
그럼 레건은 쾌고감수능력을 배려기준에 넣나요??
포함은 되지만 그것 만으로는 안되죠
그럼 쾌감능력이 없는 삶의주체인 동물은 없죠??
1살 이상고등 포유류인 삶의주체인 동물은 쾌고감수능력을 지니니까요!!
네 그렇죠ㅎㅎ
싱어가 공리주의라서 더큰이익이잇을때 희생될수잇다이거아닌가요...?
삶의주체라는 부분이 문제의 키워드같아욤
레건은 의무론자이고 싱어는 공리론자입니다. 따라서 전체 효용의 증가를 위한 개체의 희생은 싱어만 인정합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3강짜리 오개념X특강 잘 봤습니다^^
질문 하나만 더 드려도 될까요?
노직, 롤스의 각각의 재화분배의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둘 다 절차적 정의를 강조한건 아는데 노직의 경우엔 취득,양도,교정의 정의 이고 롤스의 경우엔 그냥 절차적 정의라 배웠는데 두 정의의 차이점을 잘 모르겠습니다;ㅠ
절차에서 노직은 취득의 정당성, 양도의 자유를 중시하며 롤스는 기회 균등, 최소수혜자의 최대이익이 보장되는 것을 중시합니다.
아싸맞당
아하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해도 될까요??
그럼 이번 6월 평가원의 제시문에 나왔던 노직의 말에서 비정형의 원리를 따라야 된다고 했었는데
롤스를 비판하면서 했다고 들었는데 롤스의 어떤 원칙이 정형의 원리라는 건가요???
롤스는 분배기준의 측면에서는 정형의 분배기준을 제시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본인의 분배 정의를 순수 절차적 정의라고 규정합니다. 다만 기회 균등의 원칙과 최소 수혜자의 최대이익을 추구한다는 것이 노직의 입장에서는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정형적 원리라고 비판받을 수는 있습니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