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논술 전형의 경쟁자가 모두 유의미한 경쟁자일까?
안녕하세요. 황성찬입니다.
오늘은 “논술 전형에 허수가 많은 이유”를 주제로
칼럼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많은 학생들이 논술 전형을 통해
대학에 들어가고자 합니다.
항상 모든 입시 전형 중에서
논술 전형의 경쟁률이 가장 높습니다.
논술 전형의 평균 경쟁률은 학교마다 다르긴 하지만
30:1은 기본이고 100:1이 넘어가는 학교도 있습니다.
이는 다른 대학 입시 전형들에 비하면
최소 몇 배에서 많게는 수십 배 이상 더 높은
경쟁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5학년도 이화여자대학교 논술 전형 경쟁률>
<2025학년도 경희대학교 논술 전형 경쟁률>
그렇다면 논술 전형의 경쟁률은 왜 이렇게 높은 것일까요?
많은 사람들이 논술 전형을 그저 ‘로또’의 일환으로
여기는 것이 그 한 가지 이유가 될 것입니다.
다른 전형 이를 테면 원서를 작성할 당시
학생부 종합이나 교과 혹은 정시 성적으로는
감히 꿈을 꿀 수도 없는 대학을
논술 전형으로 지원하여 ‘기적’을 노리고자 하는
수험생들의 심리가 작용한 것입니다.
하지만 적게는 30:1 많게는 300:1에 가까운
저 수많은 경쟁자들이
모두 의미한 경쟁 상대는 아닙니다.
저 집단 중 ‘허수’ 집단이 절반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논술 전형에서는 ‘최초 경쟁률’과 ‘실질 경쟁률’을 구분해야합니다.
이화여자대학교의 경우 합격하기 위해서는
수능 최저 등급이 필요합니다.
국수영탐 4개 영역 중 3개 영역 등급 합이 6이내여야 합니다.
그렇다면 저 ‘최초 경쟁자’들 중
3개 영역 등급 합이 6이내인 사람들은 몇 명이나 될까요?
‘최초 경쟁자’들 중 최저 등급을 맞추고
논술 시험장에 들어올 수 있는 학생들의 수는 그에 절반도 되지 않습니다.
최저 등급 하나로 최초 경쟁률 30:1에서
실질 경쟁률이 10:1까지 떨어지는 것이죠.
중요한 것은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최저를 맞춘 경쟁자 10명 중 논술 전형을 제대로 공부하고
합격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춘 학생들은 몇 명이나 될까요?
실제로 시험장에 가서 시험을 응시해보면,
시간 안에 글을 전부 작성하지 못한 학생들이 30% 이상 됩니다.
즉, 최저 기준을 충족한 학생들 중에서 30% 정도는
제대로 논술 공부를 해본 적이 없어
합격할 실력을 갖추지 못한 학생들입니다.
결국 원서 접수 당시에는 최초 경쟁률이 30:1이었으나
실제 시험장에서의 실질 경쟁률은 7:1 정도 수준이라는 것입니다.
실제 학교 측에서 제시한 데이터를 가지고 이를 증명해보겠습니다.
실제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발표한 ‘최초 경쟁률’과 ‘실질 경쟁률’ 차이입니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은 이 데이터는
‘수능 최저 기준 충족 여부’만 반영한 데이터라는 것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실질 경쟁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수능 최저 기준 충족 여부 외에 ‘논술에 합격할 실력’도 중요한 변수라고 말씀드렸는데,
위 데이터에는 이 변수를 반영하지 못한 데이터입니다.
즉 최초 경쟁률 34.56에서 ‘수능 최저 기준’만으로 6.84까지 경쟁률이 낮아지지만,
‘논술에 합격할 실력’ 변수까지 더해지면 6.84:1에서 4:1까지도 낮아질 수 있는 것입니다.
즉. 내가 최저 기준을 충족할 실력이 되고, 논술 전형에 합격할 실력이 된다면
내가 앞질러야 할 실제 경쟁자들은 30명이 아니라 4~5명 남짓이라는 것입니다.
결국 논술 전형은 원서 접수 당시에 적혀있는 경쟁률만 보고
합격 가능성을 판단해서는 안됩니다.
내가 ‘최저 기준을 충족할 실력’이 되는지
‘논술에 합격할 실력’을 갖추고 있는지를
먼저 진단해야 합니다.
실제 논술 전형에 지원한 학생들 중 70%는 ‘허수’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무슨일이고 0
???
-
오늘의 수학꿀팁 5
미적분에서 합성함수 문제가 뜨면 그걸 미분 하지말고(본질에서 멀어지는 행위)...
-
독해 실패했음 1
작년 강기분 꺼내서 복습해야겠다
-
빨간맛 나올때 4
초3이었음 정글의법칙에서 빨간맛 부른 멤버 나온 편이 있엇던 기억이...
-
모르겠고 20
애인이랑 저런 갈등도 생길 일조차 없는 내가 패배자다
-
그냥 포기
-
타학교 갈수도 있어서...
-
좀 게임이론식으로 다가가볼게 둘 다 최선의 선택을 한다 가정해보자. 그럼 무승부...
-
모든 일이 다 밝혀지고 뭐라해도 늦지 않습니다 여러분의 일이 아니기에 더더욱 중립
-
문해전 s1푸는 중인데 11
한 챕터당 몇개정도 틀려야 "이 친구 정시파이터로써의 기본이 되었군"정도임?
-
수학학원을 현재 토일 밤 6~10,4~8시로 다니고있는데 아버지가 수학 선생이 뭐...
-
아마 저를 모르는 분이 99%겠죠..?
-
오타니 은가누 8
https://youtube.com/shorts/ZrA8uDIBteQ?si=CH6BT...
-
작년 7모 수학 백분위 99받고 나름 자신있는 상태에서 여름방학때 설맞이 사서...
-
멍청한 놈들아
-
푸는게좋긴한데 그거 못 푼다고 딱히 문제없는듯
-
와 메인 뭐야 1
드라마냐?
-
구하기가 힘들어서..
-
왜 은가누는 지능이 없다 가정하는거야
-
대략적 난이도: 어삼~14번 전반적 난이도 1~3번: 어삼 4번: 11 나머지:...
-
그냥 은가누야
-
수12 Mx 1~2문제랑 Ex는 싹 다 못풀었는데 드릴 풀고 다시 와서 도전하는거 ㄱㅊ나여?
-
오타니가 취해서 소주병 들고 있어도 아무도 못말릴듯ㅇㅇ
-
대학교 채팅방.. 이런거 어떻게 들어갑니까? 시간표는 언제 짜요? 하나도 모르겠는데...
-
의공학 아니면 공학 분야 쪽으로 가고 싶은데 물 새우보다 물 지가 나을까요?...
-
하아아ㅏㅏㅏㅏㅏ
-
라이트급 이상에서 뛰는 상위 랭커면 충분히 접을 거 같은데 당장 마카체프같은...
-
부산 경북대는 3
인구수 감소로 인한 입결하락 효과보다 +a로 더 있는거임?
-
개@추워 할때도 댓글에 안보이면 어캅니까
-
고2때 24풀고 25버전은 안 풀고 모의고사만 풀다가 이제 25풀고있는데 아주 좋네요
-
시대 합격했고 시대 기숙 모집요강이랑 대학교 충원 등등으로 등록하고 2/17(개강)...
-
프사 0
초심으로 귀환이야, 옯삣삐
-
강민철 강기본 인강에서 개념어 정리, 세줄 정리 띄워주실 때 다들 필기하시나요??
-
https://orbi.kr/00067028824 미쳤군
-
너무추우니까 1
디버프 걸린거같애 힘드렁
-
13~14일날 시골에 내려가 있을 거 같아서.. 등록금 이체만 가능하면...
-
남들에게 조언을 해줄 때 언제나 신중하게 생각하고 답변해주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
큰일난거에요 1
공부해야하는데 롤체가 너무 잘된다에요 롤체로 대학가면 의대갈 수도 있겠다에요
-
어떤 걸로 수식이나 그래프 작성하시나요???
-
잇으신분,,,
-
음음 뭔가 무지성으로 풀기에 만만치 않은 문제가 중간에 껴있어서 좋음
-
누가 이김?
-
수학 공통과목 과외하는데 과외생이 확통을 내신으로 선택해서.. 시간도 남아서 조금...
-
지금 모 고닉이랑 의견 갈리는 중
-
ㅇ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