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상하관계와 부분관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686770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 드립니다. 명절은 잘 보내셨는지요. 하하..
오늘 다룰 주제는 상하관계와 부분관계입니다.
많은 정보들이 산재할 때 이들 간의 관계를 정리할 줄 알아야 정보의 홍수 속에서 허우적대지 않을 수 있는데요.
바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
이전 칼럼 링크 첨부하고 시작하겠습니다.
[칼럼 1 - 도약 독해] https://orbi.kr/00071108479
[칼럼 2 - 물음표 띄우기] https://orbi.kr/00071274966
[칼럼 3 - 텍스트 암기 시도하기] https://orbi.kr/00071425475
/
[상하관계]
상하관계는 상위개념과 하위개념 간의 관계를 말합니다. 상위개념이 하위개념을 개념적으로 포함하죠. 동물과 사람을 예시로 들면 동물이 상위개념이고 사람이 하위개념입니다. 또 다른 예시로 악기와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가 있습니다. 악기가 상위개념이고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가 하위개념입니다.
상하관계를 구분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만약 상하관계를 구분하지 않는다면 지문에서는 상하관계를 제시한 후 상위개념에 대해 서술하고, 문제에서는 그 상위개념에 포함된 하위개념에 대해 같은 서술을 하는 선지가 등장할 경우 그 선지가 맞는지 틀린지 잘 판단할 수 없을 겁니다. 상하관계를 머릿속으로 명확히 구분해 놓는다면 상위개념에 대한 서술이면 당연히 그 하위개념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그 선지가 맞다고 빠르게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엔 반대로 지문에서 상하관계를 제시한 후 하위개념에 대해 서술을 하며 그 하위개념에만 그 서술이 적용된다고 표현하고 문제에서 상위개념이나 그 하위개념과 대등 관계에 있는 다른 하위개념에 대해 같은 서술을 하는 선지가 등장할 경우를 생각해 봅시다. 당연히 그 선지는 거짓이겠죠. 지문에서 상하관계를 제시하는 경우 이처럼 상위개념과 하위개념을 구분할 줄 아는지를 묻는 문제가 등장하곤 하니 상하관계를 명확히 구분하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기출에 등장했던 상하관계의 예시를 살펴봅시다.
1. 또한 대표 이사는 이사 중 한 명으로, 이사회에서 선출되는 기관이다. (2017학년도 9월 모평 발췌)
대표 이사 ⊂ 이사
2. 결합 패드에 있는 복합체는 금-나노 입자 또는 형광 비드 등의 표지 물질에 특정 물질이 붙어 이루어진다. (2019학년도 6월 모평 발췌)
금-나노 입자, 형광 비드 ⊂ 표지 물질
3. 계약도 하나의 약속이다. (2019학년도 수능 발췌)
계약 ⊂ 약속
4. 채권의 내용은 민법과 같은 실체법에서 규정하고 있고, 그것을 강제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민사 소송법이나 민사 집행법 같은 절차법이 갖추어져 있다. (2019학년도 수능 발췌)
민법 ⊂ 실체법
민사 소송법, 민사 집행법 ⊂ 절차법
5. 세포는 사람과 같은 진핵생물의 진핵세포와, 박테리아나 고세균과 같은 원핵생물의 원핵세포로 구분된다. (2020학년도 6월 모평 발췌)
사람 ⊂ 진핵생물
박테리아, 고세균 ⊂ 원핵생물
진핵세포, 원핵세포 ⊂ 세포
6. 질병을 유발하는 병원체에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이 있다. (2021학년도 9월 모평 발췌)
세균, 진균, 바이러스 ⊂ 병원체
7. 법적으로 예약은 당사자들이 합의한 내용대로 권리가 발생하는 계약의 일종으로, 재화나 서비스 제공을 급부 내용으로 하는 다른 계약인 ‘본계약’을 성립시킬 수 있는 권리 발생을 목적으로 한다. (2021학년도 수능 발췌)
예약 ⊂ 계약
8. 유서는 모든 주제를 망라한 일반 유서와 특정 주제를 다룬 전문 유서로 나눌 수 있으며, 편찬 방식은 책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았다. (2023학년도 수능 발췌)
일반 유서, 전문 유서 ⊂ 유서
9. 하지만 의식의 하나인 ‘인지’ 즉 ‘무언가를 알게 됨’은 몸 바깥에서 일어나는 일과 맞물려 벌어진다. (2024학년도 6월 모평 발췌)
인지 ⊂ 의식
10. [A] 물건을 빌려 쓰거나 보관하고 있는 것을 포함하여 물건을 물리적으로 지배하는 상태를 직접점유라고 한다. 이에 비해 어떤 물건을 빌려 쓰거나 보관하는 사람에게 그 물건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사람도 사실상의 지배를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반환청구권을 가진 상태를 간접점유라고 한다.
직접점유와 간접점유는 모두 점유에 해당한다.
- ‘직접점유’와 ‘간접점유’가 모두 ‘점유’에 포함됨을 알 수 있다.
점유는 소유자를 공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공시란 물건에 대해 누가 어떤 권리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려 주는 것이다. 물건 중에서 피아노, 금반지, 가방 등과 같은 대부분의 동산은 점유에 의해 소유권이 공시된다. (2020학년도 9월 모평 발췌)
28. [A]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물리적 지배를 해야 동산의 간접점유자가 될 수 있다.
해당 선지를 ‘물리적 지배를 하지 않으면 동산의 간접점유자가 될 수 없다’라고 바꾸어 읽을 수 있는데, 물리적 지배를 하지 않으면서 간접점유자가 될 수 있으므로 해당 선지는 거짓이다.
② 간접점유는 피아노 소유권에 대한 공시 방법이 아니다.
점유가 피아노 소유권에 대한 공시 방법이 될 수 있으므로 간접점유도 피아노 소유권에 대한 공시 방법이 될 수 있다.
③ 하나의 동산에 직접점유자가 있으려면 간접점유자도 있어야 한다.
해당 선지를 ‘하나의 동산에 직접점유자가 있다면 간접점유자도 있다’라고 바꾸어 읽을 수 있는데, 한 사람이 직접점유자면서 소유자일 경우 간접점유자는 없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선지는 거짓이다.
④ 피아노의 직접점유자가 있으면 그 피아노의 간접점유자는 소유자가 아니다.
피아노의 직접점유자가 있으면 그 피아노의 간접점유자는 소유자이다.
⑤ 유효한 양도 계약으로 피아노의 소유자가 되려면 피아노에 대해 직접점유나 간접점유 중 하나를 갖춰야 한다.
답: ⑤
[부분관계]
색은 상위개념이고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은 색의 하위개념입니다. 다리는 상위개념이고 인천대교, 광안대교, 서해대교는 다리의 하위개념입니다. 그렇다면 자동차와 엔진의 관계는 상하관계일까요? 얼핏 생각하면 상하관계라고 착각할 수 있지만 이는 상하관계가 아닌 부분관계입니다. 부분관계란 말 그대로 개념적으로 포함하는 관계가 아닌, 하나가 다른 하나의 부분을 이루는 관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광안대교는 다리이다.’라고는 할 수 있지만 ‘엔진은 자동차이다.’라고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엔진과 자동차는 개념적으로 포함관계를 이루지 않기 때문입니다. 단지 엔진은 자동차의 부품 중 하나일 뿐이죠.
기출에 등장했던 부분관계의 예시를 살펴봅시다.
1. 퍼셉트론은 입력값들을 받아들이는 여러 개의 입력 단자와 이 값을 처리하는 부분, 처리된 값을 내보내는 한 개의 출력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2017학년도 6월 모평 발췌)
입력 단자, 이 값을 처리하는 부분, 출력 단자와 퍼셉트론은 부분관계를 이룬다.
2. 콘크리트는 시멘트에 모래와 자갈 등의 골재를 섞어 물로 반죽한 혼합물이다. (2017학년도 9월 모평 발췌)
시멘트, 골재, 물과 콘크리트는 부분관계를 이룬다.
3. 사단의 구성원은 사원이라 한다. (2017학년도 9월 모평 발췌)
사원과 사단은 부분관계를 이룬다.
4. 생명체를 구성하는 단위는 세포이다. (2020학년도 6월 모평 발췌)
세포와 생명체는 부분관계를 이룬다.
5. 혼합 기체에서 특정 기체의 농도가 클수록 더 작은 주파수에서 주파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2024학년도 9월 모평 발췌)
특정 기체와 혼합 기체는 부분관계를 이룬다.
/
오늘 칼럼은 여기까지입니다.
제가 다룰 칼럼들은 모두 『독해분석』에 있는 내용들이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 판매 페이지 혹은 온·오프라인 서점을 통해 『독해분석』을 구매하시면 되겠습니다.
종이책 판매 페이지:
pdf 판매 페이지:
https://docs.orbi.kr/docs/12914/
https://docs.orbi.kr/docs/12914/
https://docs.orbi.kr/docs/12914/
/
다음주 칼럼은 '정의'입니다.
오늘 칼럼이 도움 되셨거나 매주 월요일마다 칼럼 읽고 싶으신 분들은 좋아요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책 내용 관련해서 질문 있으신 분들은 쪽지로 편하게 질문 주시면 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1,000)
-
1,000
-
풀베터리 검사 결과 보시고 의사선생님이 너는 문과머리다라고 하시며 요즘 취직 문제로...
-
필교 두 개 다 잡았다 ㅅㅅㅅㅅㅅㅅㅅㅅㅅㅅ
-
하..고민데스
-
으흐흐
-
이거때메 고민하느라 2시간 날렷는데..하..
-
다들 피부상태 어떰 16
여자는 좋을테니 패스 남자만 저는 면도할때마다 자꾸 상처나서 개빡침 전동쓰는데도 그럼
-
자취방 구할 때 조건은 비슷한 상황에서 헬스장 카페 맛집 다 있는 역세권인 곳이랑...
-
!!
-
사탐 세지 노베 2
갈아탈까 하는데 어떤가요 나라 어디에 붙어있고 이런 기본지식은 좀 있는거같음생윤1...
-
종소리 2
우리집 앞에 있는 고등학교 종소리 들린다 ㅋㅋㅋㅋㅋㅋ
-
원래 회생불능까진 아녔는데
-
주키마 7권 vs 스키마 n제 1권 주키마에만 도식 해설 있다길래 주키마로 살까 싶은데 어떰요
-
동국대 시립대는 노땅은 생기부 우편으로 내라해서 정시모집때도 추가모집때도 계속 생기부 떼는 중
-
인스타 블로그 카톡 다 징징ㅈ거림 친구한테 전화해서 징징거림 학습상담에서도 징징거림...
-
문득 궁금한게 8
의대는 타 학과보다 이수학점이 많나요? 에타 보면 다들 15 18 이러는데 저만 22이길래
-
지금 300번대 중반쯤인데 앱스키마 전엔 들어갈 수 있나요..? 보통 300번대면...
-
다들 헤르미온느임?
-
얼버기 2
모닝~
-
백화점에서 not like us랑 meet the grahams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3
켄드릭이랑 드레이크는 이걸 알까ㅋㅋㅋㅋ
-
다들 학고반수면 최소 학점으로 수강신청 하던데 이유가 뭔가요? 망했을때 복구가...
-
그래도 5시간반 잤으면 충분히 잤지 뭐..
-
베르테르 59번 0
을종배당이자소득세님 Bonsam님이 도와주셧슴니다 존내 어렵습니다
-
기출을 분석하니까 행동 강령이 조금씩 생기면서 빨라지는듯 (첫단원 스텝1을 풀며)
-
다들 와서 21
신청 학점 쓰고 가기 전 22 두근두근
-
재수생입니다. 독학 재수를 시작한지 3개월 정도되었어요. 요즘 수학공부가 너무...
-
오르카가 좋다 0
ㅇ
-
물지하다가 물리는 도저히 안될거 같아서 지구과학과 사탐 과목 하나 하려는 데요....
-
으아
-
릴스에서 들어본정도였는데 국힙인줄몰랏음 식케이랑릴드래곤도데려오고...
-
ㅠㅠ 어떡하냐 4
실수로 휴대폰떨어트려서 온수매트 찍힘 이거 어떻게 감추지..
-
학교 특정 말구 시간표 평가좀.. ㅋㅎㅋㅎ 궁금해요.
-
시간표 어떰요? 8
기대기대
-
팬도 안티팬이 있는거잖아 우리의 대 민 철 선생님은 그런게 없으신가
-
학고반수 렛츠고
-
배고파요 8
뭐먹야하지
-
11시부타 5시까지 2시간 단위 수업 3연강인데 점심은 어케 먹는건지 모르게씀...
-
3모 끝나면 1
~~ 성적으로 대학 어디까지 되나요 지금부터 열심히 해서 수능 때 올릴 수 있을까요 글로 도배되나요
-
시간표 평가좀요 24
어차피 난 더 까일 것도 없으니 그냥 과목 안가리고 올리겠어
-
중경외시까지만 가능
-
수학 노베 질문 1
50일 수학 끝내고 시발점 수 1 하는데 갈수록 너무 어려워서 못하겠습니다. 강의...
-
적극지지 2% ㅋㅋㅋ
-
본인은 당당한 지구과학1 수강자이기 때문에 대충 알 수 있음
-
요즘 의반땜에 모르겠음
-
경북 조선 충북은 살짝 의외긴 한데 나머지 메디컬은 다 추가모집이 걱정한 학교에서...
-
이제 학교를 다닐 수만 있으면 된다!! 제발...
-
걍 서로 과하게 조심조심하는 친구들만 모여서 의자에 테니스공 끼워둔 부엉이도 있었고...
-
근데 우리 과외쌤은 뉴런이 교과서라고 뉴런이나 먼저 끝내라함 ㅜ 수2지금 삼차의...
-
번장에 팔라하는데 옛날책 그대로 팔아도 되나 싶어서
-
인간혐오는 어캄 0
여혐 남혐이 아니라 걍 인간이라는 존재가 싫음
이원준 강사님 제자인가요?

넵!
원칙적으로 상하 관계와 부분 관계를 구분해야 합니다. 부분 관계에서 속성은 상속되지 않습니다. 부분의 속성이 전체의 속성이라고 말한다면 그것은 구성의 오류입니다.(국어 서바에서 이거로 오류 낸 적이 있지요)이거 진짜 중요한 내용인데 학생들이 생각보다 많이 놓치죠 ㅎㅎ
맞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책 구매해서 잘 보고 있습니다.
다만, 다음에는 빠른정답, 해설편 몇페이지에 해설이 있다고 표시해주면 더 좋을것 같습니다.
피드백 감사합니다! 다음 개정 때는 꼭 반영하겠습니다!
순간 부부관계와 상하관계로 봤네요ㅋㅋ
저자님 쪽지 한 번만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원준t수업을 들었다는 전제에서 저자님의 책에서 원준쌤 수업내용 이외에 추가로 얻어갈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이 있을지 여쭤보고싶습니다!
쪽지로 답변 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