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 상쇄 풀이는 오류가 아닙니다
h(x)의 식이 우극한으로 정리된 형태라 복잡하니
g(x+) x g(x+2)로 편하게 바꾸겠습니다 다른 보기는 넘어가고 ㄴ보기만 보겠습니다
h(x)의 연속 여부를 따지고 있습니다. 일단 의심되는 지점으로 1, -1 , -3지점을 잡는건 당연하고 직접 함수식을 적어서 다뤄도 되지만 저는 g(x+) x g(x+2)의 극한식에서 처리했습니다 (두 관점이 정확히 같습니다)
h(x)의 좌극한값을 파악할때는 x값을 정의하는것이 뒤의 우극한을 보내는 것 보다 우선입니다 x를 1보다 작은 값, 좌극한 값으로 이미 정의되어있으니 뒤의 우극한이 붙어있어도 1의 왼쪽의 값을 보는것이 맞습니다.
즉 사진에 첨부된 것 처럼 g((1-)+)의 이중 극한 형태는 결국
g(1-)로 볼 수 있으니 결국 f(1-)와 같습니다 이때 f는 다항함수라는 조건이 있므로 f(1-) =f(1)과 같게 볼 수 있고 이 경우가 흔히 상쇄의 케이스로 말해지는 것 같습니다 이 경우 f(1)=1임을 확정할 수 없으므로 ㄴ 보기는 모순입니다
풀이에 오류가 있다 생각하시는 분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 96인데 어케 안될라나
-
멋진거야
-
게이 비율이 6
20명당 한명이라고 고딩 때 과학쌤이 말해줬어요 그래서 반에 한명은 게이일거라면서 …. 으흐흐
-
비교하는 능력이 중요한 이유 (Ft. 2025 수능) 1
안녕하세요 :) 디올러 S (디올 Science, 디올 소통 계정) 입니다....
-
닉이 뭔지라도 밝히고 해라 다짜고짜 걸면 누군들 받고 싶겠니? 어찌저찌 팔로우 타고...
-
내주변에도있고
-
집은 서울이고 반수예정입니다. 학교는 전남이 가장 좋아보이는데.. 님들이라면...
-
아~~난 언제 20대 되나
-
정법 개념 기출에다가 최적T 기선제압까지 했는데 작년 수능보니깐 많이 불안해서...
-
머리만 감을까 갑자기귀찬네..
-
고대 장학금이요 1
교과우수 1등이랑 일반 1등 따로주나요 작년에 교과우수로 장학받으신 분 계신지?
-
좋은차타고싶다 0
빠릿빠릿하고 이쁜차로다가…
-
솔직하게
-
하루두끼성공 7
베트테르 풀러감
-
자꾸 누가 하나눌러줌..
-
요즘 호흡기질환 유행한다는데설마..?
-
사탐 약대 3
물화였는데 이번수능 컷이랑 표점보고 런했습니다. 2사탐(사문생윤)인데 지원 가능한...
-
그때 진짜 그런거 하는데인줄 모르고 걍 옆에 보이길래 갔음... 암것도 안 하고 한...
-
군수로 입시판 성공해서 떠납니다! 서강대는 알아보니까 4년 내내 전장이던데 고대는...
-
어제 분명 예제도 못건드렸는데 왜 기출 4점까지 다 풀리지
-
경희 호텔경영학과랑 외대 LD 중에 어느 곳을 선택하는게 더 나을까요 참고로 반수...
-
갈만한 카페 추천좀 11
연휴라 프랜차이즈 아니면 다 문 닫았으려나 스벅은 맨날 가서 좀 참신한데로 가고싶음
-
전한길 "스스로 희생한 尹 사랑할 수밖에…곧 지지율 60% 넘고 직무복귀할 것" 26
(서울=뉴스1) 박태훈 선임기자 = 노량진 공무원 시험계에 '역사 일타강사'로...
-
안됨
-
오랜만에 순댓국밥 먹는게 섹1스가 아니면 뭐임
-
참 정든 학교였는디
-
그리고 드릴3 드릴4 드릴5 이렇게 부르는게 연도인건가요
-
우 샤랄랄라 0
우~
-
작년에 듄탁해랑 강e분이랑 이것저것 섞어서 봤는데 올해는 ebs만 강사 한 분...
-
왜 우리팀은 외국인타자가 없을때 더 잘함? 김헌곤 저분은 왜 갑자기 잘하심? 노경은...
-
존나맛잇네
-
세종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세종대 25][장학금정보]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세종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세종대생, 세종대...
-
내 닉네임 줄여 부르면 24
뭐임?
-
태닝하도 바프찍은 분 얘기 들어보니까 30만원?정도 들었다던데 이렇게 비싼가요 ㄷㄷ
-
서강대 합격생을 위한 꿀팁 3 [서강대 25][Tip.3] 3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서강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서강대생, 서대...
-
며칠전에 제가 면직할때까지 같이 일하던 동료 선생님을 뵙고왔습니다. 그 분은 20년...
-
데미안 헤르만 헤세 명대사 인상깊은 책 구절 첫문장 1
데미안 헤르만 헤세 명대사 인상깊은 책 구절 첫문장[데미안]독일 작가 헤르만 헤세의...
-
일상생활에 심각할 정도로 지장을 줘서 한동안 그만두려고 하는데 코인이 돈 불리기...
-
내신 과탐 물화생 다해야해서 시간이 빠듯합니다 이번에 과탐 첨하는거라 개념부터 쭉...
-
고민 있음 4
사실 군대에서 수능 말고도 공부해보고 싶은게 많긴한데 수능에 미련이 적다고 하면 또...
-
삼엘슼 현기포한 카토넥 . . . 헬조선식 급간나누기
-
지금 독서실에 저 외엔 아무도 없는데요 그래도 누군가 올 수도 있어서 함부로 못...
-
현역입니다 ! 현역 새끼가 어딜 안풀려하노 꼭 풀어라 꼭 vs 기출벅벅해야지 뭔...
-
수특 307페이지에 있는 지문이며, 머릿속 내용을 기반으로 분석하였기에 틀린게...
-
건동홍정도 성적이면 된다던데 한국수능전형이 있다함
-
헝가리 의대생 39명, 韓 국시 합격…의정 갈등에 ‘외국 의대’ 출신 ↑ 5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로 시작된 의정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해외 의대에서 수학한...
-
아트랑 피오라 누가 이기는지 건실하게 토론 ㄷㄷ
-
김범준 8
작수 미적 27-30 다 틀렸고 올해 김범준 선생님 커러 탈 생각하는데 인강이...
아니요 정확히는 그 개념자체가 틀린거에요
이 문제푸는게 중요하기보단
그래서 다른 문제 나오면 틀릴수있어요
본문에 나온 부분 중 개념 오류는 없다고 생각하는데 어느 부분이 틀렸다고 생각하시나요??
위에서 쓰신 풀이는 아무 문제도 없어요
문제는 “g((1-)+)” (=lim (x->1-) lim (t->x+) g(t)) = g(1)이 다항함수가 아닌 케이스에서 일반적으로 성립하지는 않는다는 거죠
극단적으로, g(x) = 2(x-1) sin(1/(x-1)) (x<1, x는 무리수), (x-1) sin (1/(x-1)) (x<1, x는 유리수), 0 (x>=1)에 본문의 논리를 적용하려 한다면, g((1-)+) = lim (x->1-) g(x)조차 성립하지 않아요(첫 번째 극한은 정의되지 않지만, 두 번째 극한은 정의됨)
극한상쇄 풀이가 욕먹는 건 마치 항상 성립하는 내용처럼 말해서 그런 거에요
예를 들어 방정식 dy/dx = 1, y(0)=0을 y에 대해서 풀 때, 위아래의 d를 ‘약분‘해서 y/x=1, y=x와 같이 얻는다면 답은 맞고 풀이도 ‘미분계수=기울기‘라는 점에 집중하면 어느정도 정당화가 가능하지만, dy/dx = x같은 거에서는 성립하지 않으니까 바람직한 풀이는 아니겠죠
저는 2024 6월 미적분 28번과 같은 상황이라 생각하는데요 그 문제 역시 특정 풀이법 (f(x)를 구하는 것 등)이 문제 조건이 조금만 바뀌었어도 바람직한 풀이가 아니라는 논란이 있었죠
고등 수학과정에서 출제진들이 바라던 풀이는 딱 본문정도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풀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 상황하에서 성립하면 문제가 없는거지 굳이 문제에서 나오지 않은 상황을 생각하여 문제삼는게 필요가 없다는게 제 입장입니다.
조금 더 예시를 들어보면
당장 우리가 도함수의 극한의 존재여부로 함수 f(x)의 미분가능성을 따지는게 (연속임이 전제 되었을 경우)
수학 2 문제에서는 전혀 잘못된 것이 아니잖아요?
그런데 우리가 굳이 xsin(1/x)과 같은 무한 진동함수의 반례를 생각하면서 도함수의 극한을 쓰는게 옳지 않다!
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실제로 님이 문제삼으시는 문제의 형태가 나왔다면 상쇄라는 해당 풀이는 애초에 나오지 않았다는게 제 입장입니다
저건 아예 글의 기본적 가정조차 성립하지 않는 극단적인 케이스로 잡은 거고, 그냥 g(x)=x (x<1), g(x)=0 (x>=1)만 들고 와도 g((1-)+)=g(1)이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 건 알 수 있어요
진동 발산의 케이스는 g((1-)+)=g(1-)조차 성립하지 않는 걸 보여주려고 제시한 거에요
그 상황은 다른 상황을 제시하셨으니까요
상쇄가 가능했던 "이유"는 수능 14번 문제의 경우에는
f(x)가 다항함수라 좌극한 값이 곧 함숫값으로 확정이 되성 가능했던 거죠
저 상황에서는 잡으신 함수에 우극한을 취해봤자 그대로인 함수가 되는거니 당연히 g((1-)+)는 함숫값과 같지 않는거니 저런 상황이었다면 애초에 상쇄 풀이가 나오지 않았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앞에서 말했던 거랑도 겹치는데, “현우진은 극한상쇄, 즉 g((1-)+)=g(1)과 같은 식이 항상 성립한다고 주장한 게 아니라, 그 문제의 상황에서만 성립한다고 말한 거다“라고 밀고 나간다면, 해설에서 답이 틀린 것도 아니니까 ‘해설에 오류가 없다‘고 말할 수는 있어요
문제는, 글쓴이님과 다르게(그리고 현우진 강사님의 의도와는 별개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저 극한상쇄를 항상, 또는 최소한 문제의 상황보다 훨신 넓은 범주에서 성립하는 걸로 이해했다는 거죠. 그래서 오개념 논란이 생긴 거고요.
수학은 객관성의 과목이지만, 결국 자연어에는 애매함이 있을 수밖에 없어요. 하지만 현우진 강사님의 말을 객관적으로 해석해서 해당 풀이가 어떤 의미였는지를 알 수는 없어도, 아직도 231114의 수분감 해설을 듣고 오개념을 가진 채 질문하는 학생들이 있는 걸 보면 바람직하지 못한 해설이라고는 할 수 있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