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점수의 원점수 평균과, 표준편차의 근사값 구하기
![](https://s3.orbi.kr/data/file/united/3695661427_BNqI4QKd_EC9B90ECA090EC8898ED8F89EAB7A0ECA095EBA6AC_001.png)
![](https://s3.orbi.kr/data/file/united/3695661427_mMTAILfj_EC9B90ECA090EC8898ED8F89EAB7A0ECA095EBA6AC_002.png)
추가적으로 서연고서성한 등에서 사용하는 탐구변환표준점수란
쉽게 설명하면 무슨 쉽게 나온시험 구제(보정)해주는 알고리즘가 아니라
탐구 백분위n점에 해당하는 8과목(사탐10과목)의 표준점수 기대값입니다.
(서울대와 고려대를 제외하면 특정구간에서 이상한 값을 사용함)
![](http://s3.orbi.kr/data/file/united/2750403753_kG2uMpco_EBA78CECA090ED919CECA090.png)
따라서 만점의 변환표준점수를 비교해보면 13수능보다 어렵고 11수능보다 쉬운정도
(과학탐구)
14수능보다 조금 어렵고 12수능보다 조금 쉬운정도(사회탐구)
라고 볼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연세대 시스템생명 53번인데...추합가능성 있나요? 고수님들 부탁드려요...
죄송합니다. 마지막 문단만 읽었습니다.
좋아요 박고갑니다...
ㅠㅠ
죄송합니다 마지막 문단만 읽었습니다.
좋아요 박고갑니다...
ㅠㅠ 2
ㅠㅠ
죄송합니다 마지막 문단만 읽었습니다.
좋아요 박고갑니다...
ㅠㅠ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