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수형] 3월 학력평가 후기와 가형 14번 문항의 정답을 2번으로의 선택이 41%인 이유...
안녕하세요 수학강사동수형입니다.오늘은 다름이 아니라 어제 시행되었던3월 학력평가의 종합적인 이야기와14번 문항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먼저 어제 등급컷을 보니 완전히.....이과1등급84, 2등급75, 3등급66문과1등급84, 2등급72, 3등급55....아직 많은 수험생들이 준비가 미흡하다는 것은 인지합니다.하지만 몇 문항을 제외하고는 그럭저럭 풀만한 문항이었습니다.일단 최고난이도 문항이 아니라 기본적인 문항은 확실히 하자는 것이 저의 소견입니다.일단 어제 학력평가는 시동을 거는 것이니아...이렇구나는 확실히 알고 앞으로를 준비하시면 되겠습니다.이제 가형14번 문항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이 문항에서 왜 오답률이 높으며(객관식 중 최고)왜2번을 선택하였는지...일단2번을 선택한 수험생들은 연속의 개념을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2번 선택41%)에서 아... 이겠구나....이렇게 생각하신다음 이차방정식 근과 계수와의 관계에서 모든값의 합은네 라고 했을 것입니다.일단 극값의 개념을 잘못 정리가 된 것입니다.극값의 개념은-함수의 극대극소함수에서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 구간에 속하는 모든에 대하여(1)일 때,함수는에서극대라 하고,를 극댓값이라 한다.(2)일 때,함수는에서 극소라 하고,를 극솟값이라 한다.이때,극댓값과 극솟값을 통틀어 극값이라 한다.입니다.여기서 연속이라는 것은 없습니다.이런식으로 극대가 된다는 것입니다.따라서 꼭 연속일 필요는 없다는 것에서 많은 분들이 생각을 잘못 하신 것 같습니다.이번 제가3월 동수형 모의고사에14번 문항으로 출제했던 것에 대한 해설 강의만 참고하셨더라도 이런 오해는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도움이 되셨던 분들도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조만간에 올라 올3월 모의고사 해설강의에서는14번 문항을 다른 각도로 풀었으니 참고해 주시고...4월 동수형 모의고사에서 다시 만나도록 하겠습니다.앞으로도 많은 도움이 되도록 수험생 여러분을 찾아가 뵙도록 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부자친구좋지 0
근데 나돈벌기시작하니까 걔도 나한테 얻어먹음 ㅅㅂ
-
ㄹㅇㅋㅋ
-
안녕하세요. 많은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또, 뛰어난 실력을 지니신...
-
같이 피방가면 다 걔카드로 긁음 ㅋㅋ 시간 무한이벤트임 음식 음료랑
-
일단 수험생이 지금까지 옯비 보고 있는거면 끝났음 이미 0
나 말하는거임
-
흐흐 0
-
얘드라 미아내... 아무리 생각해도 참신한게 안떠오른다 ㅅㅂ
-
전에 메이드카페 같이가서 내꺼까지 걔가 사준이후로 형님으로 모심 총 50나왔더라
-
그러고보니 1
난이제 고졸이니 중졸 무시해도 되겠네 ㅋㅋ?
-
시끄러워 2
중졸
-
히키니트에겐 집이 필요해..
-
진짜 옯창된 느낌이네 옯창단의 필수 덕목이 프사였던거구나
-
옛날 초딩들은 6
여름이 되면 밖에 나가서 잠자리 잡고 올챙이 잡으러 계곡을 갔어요
-
얻은게많은거같아요
-
집값메타 드가자 2
과자집 만들까 5000 원이면 충분할듯
-
원래 지고있었어서 욕만 하다가 마지막에 이기니까 서로 칭찬해주자 하면서 우쭈쭈해줌
-
우주 끝까지 고로시해서 개그소재로 쓰는 스타일인데 좀 가혹할수있다는 생각이들어서...
-
25리트 집에서 시간재고 풀었을때 130점대 후반이었습니다 원래 책 많이읽었고...
-
난 버정에 누워있다니까
-
여전히 맛이 간 그 구단
-
집값메타라 5
부모님집 5000/180 자취방 1000/70 우웅 자가는없어 ㅜㅜ
-
인생 조졌다 0
지금이라도 깨달아서 다행 지금부터라도 열심히 살면 됨 안늦음 …
-
덕분에여러분들을만나게되었잖아요 ㅎ.ㅎ
-
그냥 엄청 빨아주셈 와 니네집 부자인거 너무 부럽다 엄빠가 어떻게 판사에 의사냐...
-
히히 새르비 참가
-
2부리그 꼴등한테 발리네 ㅋㅋㅋㅋ 토트넘 뭐하냐
-
온갖 ㅈ같은 새끼들이 지들 부자인거 쳐 자랑하고
-
현역 45346에서 재수해서 34324로 조금이지만 올랐어요.. 현재 3예비를 받고...
-
회피형 특징 0
사귀기 전 맘에 드는 사람 있음 - 표현은 안 하는데 개티남 소개시켜줄까?...
-
김승리 강민철 1
김승리 강민철 각자의 장점이 무엇인가요? 독서는 누구, 문학은 누구 이런게...
-
저는 집 없음 5
지금 버정에 누워있는거임 냉장고는 옆에 쌓인 눈
-
나도 광댄데 1
나 버기임
-
날 보고 웃는건 나도 좋은데 날 보고 비웃진 않아줬으면 좋겠음. 가뜩이나 자존감 밑바닥인데...
-
엊그제 강남성모병원 처음봤는데 ㄹㅇ멋지더라...
-
레어 한번만 더 뺏어가시면 피켓도 듭니다 진짜로
-
머나먼옛날에 3
차가 쌩쌩 지나갈때마다 뛰어드는 상상을 했는데 그 후유증으로 차가 무서워짐
-
수능은 1등급이긴 한데 몇년 지나니 내용도 잘 기억안나고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도 감이 안옴
-
부정적분에서도 뭐가 변수인지,뭐가 상수인지 잘 파악해야됨
-
잠온다 5
-
술은 좋아 4
기분이 high해져
-
쓰레기같은 인생이 되지는 않았을텐데
-
광대 아니면 할게 없음. 광대까지 뺏으면 나는 뭔데?
-
좋은점들도 많긴한듯 근데 종합적으로는 안했으면 더 좋았을듯
-
원진아님 너무 이쁨 내 스타일..
-
회피형 레전드 2
-
비틀즈스럽군 1
애비로드스러워 익숙한 맛이야
-
옯뉴비의 레어를 뺏어보겠습니다
-
이상이너무높아~ 3
초과
-
언젠가 강기분 문학 부록 강의 스튜디오에서 찍어서 올려준다 하셨던 거 같은데 부록은 강의가 없나요?
-
ㅅㅂ ㅋㅋㅋ 2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것도 극대로 치나요 ㅠ
네 극대입니다..
제 모의고사 가형 14번에 설명해뒀으니 참고하세요
2번이 선지 선택 비율이 높은 이유는 사실 모든 a값의 '합'을 구한 학생이 대부분이라는 소름돋는
뭐... 확실한 것은 아닙니다만. 아마도 그렇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을 합니다.
저도 어제 풀땐 그냥 -3, 1이구나 했는데 오늘 해설강의 할때 아... 이렇게 하니 답이 -2네..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아..이제 잘못된거 봤습니다
합이 아니라 곱인데...글 실수입니다
동수형 모의고사 풀고 극대 정의 정확히 알게 되서 수학 100점 맞았습니다. 감사해요
와우. 잘됐네요.. 앞으로도 좋은결과 있기를 바랄게요
?!놀라서 교과서를 찾아보니 극값은 연속인 부분에서만 정의된다고 나와 있는데요...과외할때도 그렇게 가르쳤고요
? 극대 정의에 연속성이 전제 되어잇다고요? 지금까지 과외생에게 오개념을 주입하셨었군요
무슨 말씀이세요?교과서에도 그렇게 명시 되어 있는데...
혹시 교육과정이 바뀐건가 싶어서 보니 새로 나온 개념원리에도 연속일 때라고 명시 돼 있습니다
교과서 서술을 오역하신 것 같습니다.
어떤 점이 1사분면 위에 있을 때 그 점의 y좌표는 양수이다 라는 발문을 읽으실 때 y좌표가 양수인 조건을 1사분면이라고 해석하시는지요?
어떤 점이 1사분면 위에 있을 때 그 점의 y좌표는 양수이다 라는 발문을 읽으실 때 y좌표가 양수인 조건을 1사분면이라고 해석하시는지요?
아니요. 역이 성립하지는 않으니까요.
교과서와 개념원리에선 명백히 '극값'의 정의를 설명하면서 '연속성'이 내재돼야 한다고 명시 돼 있으니까요
개정판 개념원리입니다
흔히 극댓값이라 부르는 로컬맥시멈을 정의할 때 과거 교육과정에서 실제 정의와의 괴리때문에 이번에 다시 미적분학의 정의로 정정한 것입니다. 애초에 수학에서 극값을 연속이 전제된 상태에서 정의한 적이 없습니다. 시간이 조금만 있으시면 네이버에라도 극값의 정의를 치셔서 살펴보세요. 전 수학과 학부 전공입니다. 댓글이 자꾸 길어지니 본인께서 조금만 찾아보길 권합니다.
개념원리가 상당히 오개념 투성이군요 교육과정상에서 증가상태 감소상태라는 용어 또한 없습니다. 그리고 극대를 정의할때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부분이라뇨... y=1이라는 상수함수는 모든 점에서 극대이자 극소입니다. 개념원리의 서술에 따르면 상수함수는 극값이 없네요?;; 어느나라 수학인가요
개정전의 문제집에는 상수함수는 극대도 극소도 아니다.
라고 서술되어있는 책들도 많았습니다.
이제라도 제대로 가고 있는것 같습니다~
상수함수에 극대와 극소가 있나요..?
네 원래 로컬 맥시멈은 국한된 범위에서 다른값 이상의 점을 말합니다.
아..QbnW.....님 개정판 그거 수정 안된 책입니다..
올해 나온거로 서점에서 다시 보시거나 구입해서 다시 보세요 그럼 이해가 되실겁니다
찾아보니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극값의 정의가 바뀌었는데 개념원리가 그걸 반영 안 한 거네요. 매우 당황스럽군요
실제 수학에서는 지금 개정된 정의대로 지금껏 약속해왔기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개념원리 하고요, 천재교과서중 [류희찬대표저자] 인 책에서
개정전의 극대/극소 정의를 답습하네요.
저도 오늘 천재교과서가 그렇다는 제보를 받고 알았습니다.
같은 천재교과서라도 [이준열대표저자]인 책은 개정교과서에서 채택하고있는
극대극소의 정의를 서술하고 있는데 말이죠.
이 부분은 조속히 수정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극대/극소 조건 다 무시하고
f(0) = f(2) 의 a에 대한 2차 방정식의 합(= -2) 을 구해서 2번으로 오답 한 학생이 41프로 라구요? ㄷㄷ
설마요... 그런 학생들 거의 없을것 같은데요..
그냥 저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곱으로 바뀌야하는데 합으로 되어있네요 )아니면 2번을 41퍼나 나올일이 없으니깐요
그리고 연속의 개념을 가지고있는 학생이라면 그랬을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입니다
저는 그냥 1 / -3 을 곱하지 않고 더한 실수를 한 친구들이 많아서 2번 오답률이 높았지 싶네요.. 극대 극소 무시하고 풀었을리가...
제 첫 댓글이
그거임 더하면 -2나옴 ㅋㅋ 많이 낚인 듯
2번이 41퍼라니... 그런 이유일 가능성이 상당히 있다고 봅니다.
혹시 14번 정답률 아세요?
정답은 1번으로 14퍼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전 더하기 실수로 정답과 3배정도로 정답률이 달라질리가 없기에 그리고 객관식이 정답률이 20 퍼가 안되기에 이런 논리로 이야기하는겁니다
그냥 저의생각입니다
저가 고2라 댕청해서 그런데 f(x) = f(x+2) 면 2인 주기함수 아닌가용 그냥 물어보는거에요 저가 잘못생각한건가 싶어섴
주기가 2인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문제 풀때 구간이 2로 주어져있기때문에 주기를 2라고해도 상관은 크게 없습니다
2마다 반복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